top of page
검색


권형필 변호사
5일 전
업종제한 규정이 있는 상가에서 업종을 지정받은 수분양자 외에 임차인이 제한업종 변경에 동의할 수 있을까?
상가의 업종제한 규정에 따른 독점영업권은 해당 점포 소유권의 종물이므로, 지정업종 상가를 분양받은 수분양자의 임차인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업종을 하려는 사람을 상대로 영업금지 가처분을 신청할 수는 있지만, 제한업종의 변경에 대한 동의를 할 권한은 없다.


권형필 변호사
2월 24일
지정업종을 위반한 사람에 대한 영업금지 청구, 수분양자 외에 매수인이나 임차인도 가능할까?
분양계약서나 관리규약에 의한 지정업종권은 해당 점포 소유권의 종물이므로, 수분양자는 물론 매수인, 임차인 모두 지정업종 규정을 위반한 사람을 상대로 영업금지 가처분을 신청할 수 있다.


권형필 변호사
1월 10일
지정업종으로 분양한 상가, 수분양자 외에 양수인이나 임차인도 업종 제한 규정을 지켜야 할까?
업종을 지정하여 분양한 경우 수분양자는 물론 양수인이나 임차인 또한 업종 제한 약정을 준수해야 하며, 추후 수분양자들이나 구분소유자들이 합의로 위 약정을 변경할 수 있다.


권형필 변호사
1월 6일
임대수익을 얻고 있는 사람도 지정업종 위반한 사람에게 영업금지 가처분을 신청할 수 있을까?
업종을 지정받아 상가를 분양받은 사람이 해당 점포를 제3자에게 임대하고 지속적으로 임대 수익을 얻고 있다고 하더라도, 구체적 손해가 지속될 것이 인정된다면 영업금지 가처분을 신청할 피보전채권과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12월 16일
이미 지정업종으로 보호받는 상인이 있는 경우, 관리규약 개정으로 지정업종 보호 조항을 삭제하거나 추가, 변경하려면?
업종을 지정받아 분양받거나, 관리규약에 따라 업종 보호를 받고 있는 구분소유자가 있는 경우, 관리규약 개정을 통해 지정업종 보호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려면 먼저 지정업종의 보호를 받고 있는 구분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11월 25일
상가 내 업종제한 규정을 위반한 사람에 대한 영업금지 청구, 점포 임차인에게는 청구할 수 없을까?
상가 내 업종을 지정하여 분양한 경우, 다른 점포 입점자들은 업종제한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지정업종에 대한 경업금지 의무는 분양 당시 수분양자는 물론, 수분양자로부터 점포를 양수한 사람이나 임차인, 나아가 분양회사에도 적용된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11월 4일
전통시장 시장관리자의 관리비 징수권한, 대규모점포관리자와 동일할까?
유통산업발전법상 대규모점포관리자나 전통시장 시장관리자가 점포에 입점한 상인에게 관리비를 징수하는 것은 점포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업무이므로 대규모점포관리자 등의 업무에서 제외되는 구분소유자와 관련한 사항으로 볼 수 없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10월 14일
관리단집회 결의의 하자가 있는 경우, 관리단집회 결의 취소 소송과 무효 확인 소송 중 무엇을 제기해야 할까?
관리단집회 소집이나 결의 등에 존재하는 하자가 무효로 돌릴 만큼 중대한 하자가 아닌 경우에는 무효 확인의 소송이 아니라 집합건물법 제42조의2에서 규정하고 있는 결의 취소의 소를 제기해야 하며, 이는 6개월의 제척기간 내에 제기되어야 한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9월 23일
관리단에서 관리비 관련 소송 제기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하는 절차!
집합건물 관리단은 민법상 비법인사단이고, 관리비는 관리단의 재산인 총유물이므로, 관리단이 관리비 관련 소송을 제기할 때는 먼저 관리단집회 결의를 거쳐야 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