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부동산 매매대금을 완납했는데 '이것' 하지 않아 이전 소유자에게 행사한 매도청구권이 인정되었다고?!
판례 해설 매도청구소송은 사업시행자가 재건축 사업 시행을 위해 정비사업구역 내의 토지나 건축물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 중 재건축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소유권의 이전을 위하여 강제 매도를 시킬 수 있는 소송이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것은...

권형필 변호사
2024년 6월 24일1분 분량


매도청구의 하자를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방어가 필요하다면 알아두어야 할 사례!
판례 해설 조합 측에서 매도청구권을 행사하게 될 때, 하자가 있는 경우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주장을 하게 된다. 대상 판결은 조합 사업은 다수 조합원의 동의를 받아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과 법정안정성을 위하여 조합측의...

권형필 변호사
2024년 4월 15일3분 분량


재건축 결의의 정족수 요건을 결의 당시에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이후에 관련법의 개정으로 요건이 완화되었다면 매도청구권의 행사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될까?
판례 해설 매도청구권은 유효한 재건축결의에 의하여 재건축 조합의 설립이 적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조합이 설립될 당시의 법을 기준으로 하여 조합설립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 사건에서는 재건축 결의가 있을 당시의...

권형필 변호사
2024년 2월 5일2분 분량


조합설립인가에 있어서 행정청의 착오로 인해 하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가 처분이 되었다면, 이러한 처분은 당연무효가 되는 것일까?
판례해설 재건축 조합에서 매도청구권은 조합설립이 당연무효가 되지 않는 이상 다툴 수 없고, 조합설립은 조합설립인가 처분이 취소되지 않는 이상 다툴 수조차 없다. 인가 처분에 있어서도 행정청의 행위 자체가 그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는 하자가...

권형필 변호사
2023년 12월 4일2분 분량


재건축 결의와 관련한 관리단 총회에서 결의 이후 추가로 서면결의서를 받아 5분의 4 동의요건을 충족하였다면, 이러한 결의는 유효한 것으로 인정받게 될까?
판례해설 원칙적으로 관리단 집회에 제출된 위임장 및 서면결의서 중 관리단 집회 결의 전까지 제출된 것만이 관리단 집회의 유효한 결의로 반영되게 된다. 관리단 집회가 종료된 이후에는 어느 누가 위임장이나 서면결의서를 제출하고자 하더라도 이미 종결된...

권형필 변호사
2023년 9월 18일2분 분량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