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수급인이 완성한 건물에 하자가 너무 많은 경우, 공사 미완성을 주장하며 지체상금을 청구할 수 있을까?
[ 판례 해설 ] 지체상금은 기한 내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수급인이 부담해야 하는 가장 크고 무서운 패널티이다. 따라서 공사를 완성했으나 하자가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공사가 아예 완성되지 않은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권형필 변호사
2021년 9월 15일
지체상금 종기일을 준공검사 통과일로 약정한 계약의 해석 방법
[ 판례 해설 ] 공사의 완성에 대한 판단은 준공검사가 아니라 계약의 내용과 신의칙의 원칙에 비추어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신의성실의 원칙은 그 자체가 추상적이기 때문에 대부분 법정 다툼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인 싸움은...

권형필 변호사
2021년 3월 24일
수급인의 귀책사유로 도급계약이 해제되고, 도급인이 다시 수급인을 선정하여 공사를 진행하느라 완공이 늦어진 경우 기존 수급인의 지체상금 책임
[ 판례 해설 ] 실제로 이 사건처럼 능력이 부족하거나 부주의한 수급인으로 인하여 공사가 진행되지 못하자, 이를 보다 못한 도급인이 계약을 해제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도급인은 새로운 수급인과 계약을 체결한 후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바, 이러한...

권형필 변호사
2021년 3월 17일
공사가 약정한 기간 내에 완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도급계약이 해제된 경우 수급인이 부담하는 지체상금의 범위
[ 판례 해설 ] 지체상금이란, 약정한 완성일까지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수급인이 그 공사 지연 사실 자체만으로 부담하는 손해배상 책임을 말한다. 그렇다면 공사가 약정한 날짜 안에 완성되지 않은 채 도급계약이 해제되었다면 수급인이 부담해야 하는...

권형필 변호사
2021년 3월 10일
도급인의 귀책사유로 공사도급계약이 해제된 경우, 수급인의 지체상금 책임
도급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도급계약이 해제된 경우에도 수급인은 공사 지연에 대한 지체상금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권형필 변호사
2021년 3월 3일
공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지체상금보다 실제로 발생한 손해가 너무 크다면, 감액을 요청할 수 있을까?
[ 판례 해설 ] 공사업자가 계약 체결 시 약정한 준공기한까지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에 약정한 비율에 따라 지체상금을 부담한다. 나아가 준공기한까지 공사가 완성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 지체상금 책임은 발생하는바, 도급인으로서는...

권형필 변호사
2021년 2월 24일
건설보증회사가 수급인 대신 공사를 이행할 것을 선택한 경우, 보증회사가 지켜야하는 준공기한은 언제까지일까?
[ 판례 해설 ]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할 때, 도급인으로서는 공사가 진행되지 않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수급인으로하여금 건설공제조합 등 보증회사로부터 공사이행보증에 관한 증권을 요구할 때가 있다. 이에 따라 건설 보증회사는 자신이 보증을 한...

권형필 변호사
2021년 2월 17일
공사를 미완성한 것과, 완성했지만 하자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하는 기준!
[ 판례 해설 ] 공사업자로서는 지체상금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가장 피하고 싶은 상황 중 하나일 것이다. 지체상금은 완공 기한까지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 수급인이 그 공사 지연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는 것인데, 그 금액은 일반적인 손해배상을...

권형필 변호사
2021년 2월 10일
공사가 완성된 이상 더이상 지체상금을 청구할 수는 없다.
공사가 완성되었는지 여부는 주요 구조부분이 약정대로 시공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일단 공사가 완성된 경우에는 지체상금이 아니라 하자에 갈음하는 손해배상만 청구할 수 있다.

권형필 변호사
2021년 1월 6일
bottom of page